티스토리 뷰
목차
저 같은 청년이나 중장년이 중소기업에 취업해서 3년만 버티면 1,224만 원이 내 통장에 꽂힙니다. 그뿐만 아니라 제가 근무하는 기업도 고용을 유지하면 최대 576만 원 환급 혜택을 받으니, 서로에게 이득이죠. 문제는 단 하나! 2025년 예산은 선착순으로 소진된다는 사실입니다. 저는 이 기회를 절대 놓칠 수 없었고, 그래서 바로 신청 방법, 준비해야 할 서류, 그리고 숨겨진 혜택까지 하나하나 확인해봤습니다. 이제, 저처럼 놓치고 후회하지 않으려면 지금 당장 알아봐야 할 시간입니다!
“3년만 버티면 1,2245만 원! 예산 소진 전에 신청하세요👇”
1. 신청 방법
① 신청 주체 : 기업이 신청(근로자 서류를 함께 제출해야 함)
② 신청 기간 : 2025년 8월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상시 접수
③ 신청 경로 :
- 온라인: 중진공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www.sbcplan.or.kr)
- 우편: 경상남도 진주시 영천강로 167, 이노휴먼시티 4층 성과보상처 담당자
④ 필요 서류
- 기업 및 근로자 신청서
- 주민등록등본, 4대보험 가입내역서
- 근로계약서 사본(정규직 확인)
- 사업자등록증, 국세·지방세 납세증명서
- 고용보험 자격 이력내역서
⑤ 진행 절차
- 서울시, 중진공에 신청
- 1차 서울시 심사 → 2차 중진공 심사
- 승인 후 첫 납입일에 공제계약 성립
- 36개월간 매월 34만 원 납입 및 관리
- 근속 3년 시 1,224만 원 + 이자 수령
- 세대이음 기업은 환급금 추가 수혜
“3년 근속만 해도 1,224만원 + 복리이자 받는 기회, 지금 시작하세요!”
2. 서울형 이음공제란?
서울형 이음공제는 서울시가 청년과 중장년의 안정적 고용을 지원하고, 중소·중견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납입하고, 서울시와 정부가 매칭 지원을 더해 3년 뒤 근로자가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동시에 기업은 장기근속 인재를 확보할 수 있어 서로 윈윈(Win-Win)하는 구조입니다.
3. 지원 대상 및 조건
- 대상 기업: 서울시에 소재한 중소·중견기업
- 대상 근로자: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서울인 청년(만 19~39세) 또는 중장년(만 50~64세)
- 고용 조건: 신규 채용 후 4대 보험 가입, 정규직(기간의 정함 없는 근로계약)
※ 신규채용이라 하더라도 이전 인턴·기간제·프리랜서 경험 후 정규직 전환 시 증빙자료를 제출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 제외 대상
아래에 해당하면 신청이 제한됩니다.
- 휴·폐업 기업, 세금 체납 기업
- 일반유흥주점, 사행성 업종 등 일부 업종
- 과거 정부지원금 부정수급 기업 및 근로자
- 기업 대표자 및 사업자등록자(겸직 근로자 포함)
- 중복수혜자: 희망두배통장, 서울시 고용장려금 참여자
- 대한민국 국적이 아닌 외국인
4. 혜택 총정리
① 청년 이음공제 (기업당 최대 7명)
- 근로자 월 10만 원 납입, 기업·서울시·정부가 각각 8만 원씩 매칭 지원합니다. - 3년 근속 시 총 1,224만 원 + 복리이자를 근로자가 수령합니다.
② 중장년 이음공제 (기업당 최대 3명)
- 만 50~64세 신규채용 또는 재채용 시 가능하며, 비정규직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동일하게 근로자와 기업, 정부, 서울시가 공동 납입하며 3년 근속 시 1,224만 원 이상 지급됩니다. - 특히 60세 이상은 국민연금 가입이 제외되어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③ 세대이음 고용지원금 (기업당 최대 3쌍)
- 청년과 중장년을 한 쌍으로 동반 채용하면, 기업이 부담한 공제금을 서울시가 1년 단위로 환급해줍니다. - 동시 채용 및 근속 시 1년 최대 192만 원, 3년간 최대 576만 원까지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④ 세대 상생 우수기업 포상
- 청년과 중장년 간 기술 이전·멘토링·디지털 전환 협업이 뛰어난 기업은 연 1회 선정되어 포상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6. 중도해지 시 유의사항
기업 또는 근로자 귀책 사유에 따라 해지환급금 수급권자가 달라집니다. 예: 기업이 폐업하면 근로자가 수급, 근로자가 자발적 퇴사하면 기업이 일부 수급합니다. 또한 세대이음 고용지원금은 한쪽이라도 퇴사 시 자동 해지되므로, 고용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5. 꼭 챙겨야 할 포인트
- 서울시 지원금은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음
- 청년·중장년 동반 채용 시 환급금 효과 극대화
- 3년 근속 유지하면 근로자와 기업 모두 실질적 이익 확보
마무리 : 지금 신청하고, 1,224만 원 혜택 챙기세요!
서울형 이음공제는 단순한 지원금이 아니라,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됩니다. 2025년은 이 제도를 통해 청년과 중장년 모두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고, 기업은 장기적인 인재를 확보할 절호의 기회입니다. 예산이 빠르게 소진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단 한 번의 클릭으로 청년·중장년 고용 혜택을 동시에 누리세요🔽
문의처
- 서울시 : 02-120, 02-2133-9396~7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1588-6259